요즘 길에서도 정말 많이보이는 전기차는
환경 보호는 물론 유지비도 굉장히 저렴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데
전기차도 구매를한다면 자동차세를 내야한다.
오늘은,
전기차 자동차세는 얼마나 나오는지
쉽게 알아보도록 하자.
2025년 기준 전기차는 연 13만원의 자동차세가 부과된다.
13만원 안에는
– 자동차세의 본세 :10만원
– 지방교육세 (30%) : 3만원
을 합한 금액이다.
즉, 전기차 자동차세는 연 13만원 고정이다.
★ 차종과 가격은 관계없이 동일하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당연히 저렴하다.
이유는 전기차 자동차세는 배기량 기준이 아닌
고정금액 즉 정액제로 부과되기 때문이다.
보통 일반 차량은
배기량에 따라 자동차세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보자↓
2,000cc 차량 신차 기준으로 연간 자동차세가
약 50만원이 나올 수 있다.
단편적인 예를 들어 봐도
전기차가 훨씬 저렴하다.
혹시 전기차 가격에 따라 자동차세가 달라지는 것이 아닐까?
라는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을 위해 표를 준비해 봤다.
전기차 가격 | 자동차세 (연간) | 월 환산 금액 |
3,000만원 차량 | 130,000원 | 약 10,800원 |
5,000만원 차량 | 130,000원 | 약 10,800원 |
8,000만원 차량 | 130,000원 | 약 10,800원 |
보시다시피 차량 가격이 아무리 비싸도 자동차세는 모두 동일 하다.
고가의 전기차를 구매하더라도 유지비 측면에서
큰 장점이 된다는 의미이다.
자동차세 절약 외에도 전기차는 다양한 혜택이 있다.
이처럼 전기차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자동차세는 보통 연2회 (6월과 12월)에 납부하거나
1월에 연납을 한다.
1월에 연납을 하는 경우
약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약117,000원)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자동차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이 있다.
이 블로그의 다른글 보기↓
전기차 다자녀 보조금도 받을 수 있다고?!
환경과 경제적인 것을 생각한다면 전기차도
좋은 선택지이다.
최근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정부 보조금 제도가 나오고 있다. 특히 다자녀 가구를 위한…
수소전기차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서,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의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장거리 운행 시 안정적인…
화물차 운전자라면 차량유지비와 유류비 부담이 엄청나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화물차 운전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화물차…
어떤 주유소에 가보면 고급유를 취급하는 주유소가 있다. 대략적으로 일반유 보다는 좋은 건 알겠는데.. 어떤 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