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자동차세, 얼마나 낼까? 쉽게 정리해 봤어요!

요즘 길에서도 정말 많이보이는 전기차는
환경 보호는 물론 유지비도 굉장히 저렴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데
전기차도 구매를한다면 자동차세를 내야한다.

전기차 자동차세

오늘은,
전기차 자동차세는 얼마나 나오는지
쉽게 알아보도록 하자.

전기차 자동차세, 얼마인가요?

2025년 기준 전기차는 연 13만원의 자동차세가 부과된다.

13만원 안에는
– 자동차세의 본세 :10만원
– 지방교육세 (30%) : 3만원

을 합한 금액이다.

즉, 전기차 자동차세는 연 13만원 고정이다.

★ 차종과 가격은 관계없이 동일하다.

전기차 자동차세가 저렴한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당연히 저렴하다.

이유는 전기차 자동차세는 배기량 기준이 아닌
고정금액 즉 정액제로 부과되기 때문이다.

보통 일반 차량은
배기량에 따라 자동차세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보자↓

2,000cc 차량 신차 기준으로 연간 자동차세가
약 50만원이 나올 수 있다.

단편적인 예를 들어 봐도
전기차가 훨씬 저렴하다.

가격별 전기차 자동차세 예시

혹시 전기차 가격에 따라 자동차세가 달라지는 것이 아닐까?
라는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을 위해 표를 준비해 봤다.

전기차 가격 자동차세 (연간) 월 환산 금액
3,000만원 차량 130,000원 약 10,800원
5,000만원 차량 130,000원 약 10,800원
8,000만원 차량 130,000원 약 10,800원

보시다시피 차량 가격이 아무리 비싸도 자동차세는 모두 동일 하다.

고가의 전기차를 구매하더라도 유지비 측면에서
큰 장점이 된다는 의미이다.

자동차세 절약 외 전기차의 추가 혜택은?

자동차세 절약 외에도 전기차는 다양한 혜택이 있다.

  • 공영주차장 할인 또는 무료 이용
  •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 지자체 보조금 및 취등록세 감면
  • 혼잡통행료 면제 (일부지역)

이처럼 전기차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기차 자동차세 관련 뉴스기사

전기차 자동차세 언제 내야 하나요?

자동차세는 보통 연2회 (6월과 12월)에 납부하거나
1월에 연납을 한다.

1월에 연납을 하는 경우
약 1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약117,000원)

결론 : 전기차는 자동차세 부담이 적다!

  • 전기차 자동차세는 연13만원으로 고정
  • 배기량과 차량가격은 상관없이 고정금액
  • 연납 할인 시 11만7천원으로 납부 가능
  • 다양한 유지비 절감혜택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자동차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이 있다.

이 블로그의 다른글 보기↓
전기차 다자녀 보조금도 받을 수 있다고?!

환경과 경제적인 것을 생각한다면 전기차도
좋은 선택지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