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주차 견인신고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을 알아보자!

대한민국 국민 중 2,500만명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해당기사 클릭

국민 2명중 1명이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샘이다.
그렇다 보니 주차 문제가 굉장히 많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불법으로 주차 하는 차량들로 인해서 피해가 일어나는
상황이 종종 연출 되기도 한다.

선 연락을 했는데도 조치가 안된다면,
신고를 해서 해결 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 이라고 생각 된다.

오늘, 불법주차 견인신고 하는 방법에 대해 빠르고 쉽게 알아보자.

불법주차 견인신고 방법

1. 120 다산 콜센터 문자,전화 하기

해당 번호로 주차 민원을 넣고 불법주차 사진과 함께 보내주면
행정 담당자가 단속,견인을 진행하게 된다.

문자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2. 안전 신문고

어플로 간편하게 신고 할 수 있다.
안전신문고 어플 다운[클릭]

어플을 다운로드 후 접속합니다.

민원인의 정보를 입력 후 촬영한 사진을 업로드 합니다.
(첫 촬영 후 10분 후 재촬영 해야함)

 

3. 지자체 전화하기

소속된 구청,시청에 전화를 해서 직접적으로 신고합니다.


이렇게 불법주차 견인신고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무작정 신고하기 보다는 차량에 붙어 있는 전화번호로 먼저 전화 후
소통이 안될 때 실행하는 것이 좋겠죠?

견인이 되면 추가적인 견인 요금과 보관비가 발생합니다.
해당 차주는 견인 차량 보관소로 방문하여
금액을 지불하고 자동차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주차구역 위반차량 신고 포상금은!?

불법 주차 구역에 대해서

우리가 주차를 하면 안되는 곳은 어디일까?

  1. 교차로, 횡단보도 등 차도가 구분된 도로의 보
  2. 비상 소화 장치가 설치된 구간(해당 장소 5M이내)
  3. 버스 정류장과 버스 표지판 전용 차선 등으로부터 10M 이내 구역

 

이렇게 불법주차 견인신고 방법과 불법 주차 구역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불법 주차로 인해 소방차 진입이
어려워 빠르게 대처하지 못했던 사건도 있는데요,

사고의 위험이 크다고 판단 될 때 위의 방법대로
빠르게 신고해서 해결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사유지 불법주차 신고방법은?

불법 주차 과태료는 얼마나 발생할까?

1. 승용차
일반 구역 위반 : 4만원
일반 구역 자진 납부 : 3만2천원

어린이 보호구역 위반 : 8만원
어린이 보호구역 자진 납부 : 6만4천원

 

2. 승합차
일반 구역 위반 : 5만원
일반 구역 자진 납부 : 4만원

어린이 보호구역 위반 : 9만원
어린이 보호구역 자진 납부 : 7만2천원

 

FAQ. 자주하는 질문!

Q1. 어린이보호 구역의 불법 주차는 과태료가 있나요?

네. 어린이 보호구역에 대한 과태료가 가장 금액이 큽니다.

Q2.가장 빠른 방법은 무엇인가요?

해당 지자체에 전화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Leave a Comment